잠수복은 활동 종류, 수온, 개인의 신체적 특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선택해야 하는 중요한 장비입니다. 각 잠수복의 고유한 설계 방식과 특징을 이해하면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수중 활동을 즐길 수 있습니다. 잠수복의 종류를 상세하게 나누고 각각의 쓰임새를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웻슈트 (Wetsuit) – 가장 대중적인 습식 잠수복

웻슈트는 슈트 안으로 들어온 물을 체온으로 데워 단열층으로 활용하는 원리입니다. 신축성이 좋은 네오프렌 소재로 만들어져 몸에 밀착되는 것이 특징이며, 활동성이 뛰어나 스쿠버 다이빙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상 스포츠에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 두께별 쓰임새
웻슈트의 보온력은 네오프렌의 두께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활동할 지역의 수온에 맞춰 선택해야 합니다.
- 1mm ~ 2mm:
- 쓰임새: 스노클링, 서핑, 패들보드, 제트스키 등 주로 물 밖으로 몸이 자주 나오는 수상 스포츠. 수온이 28°C 이상인 열대 바다에서의 가벼운 다이빙.
- 특징: 매우 얇고 신축성이 뛰어나 활동에 거의 제약이 없습니다. 보온보다는 자외선 차단과 해파리, 산호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이 주목적입니다.
- 3mm:
- 쓰임새: 수온 22°C ~ 28°C 정도의 따뜻한 바다에서의 스쿠버 다이빙. 국내에서는 여름철 다이빙에 주로 사용됩니다. 서핑, 웨이크보드 등 대부분의 수상 스포츠에 전천후로 활용 가능합니다.
- 특징: 활동성과 보온성의 균형이 가장 잘 잡혀 있어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두께입니다.
- 5mm:
- 쓰임새: 수온 15°C ~ 22°C의 다소 서늘한 온대 해역에서의 스쿠버 다이빙. 국내에서는 봄, 가을 시즌에 적합합니다.
- 특징: 보온성이 강화되어 움직임이 3mm에 비해 다소 둔해질 수 있습니다. 후드나 조끼를 추가하여 보온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 7mm 이상:
- 쓰임새: 수온 10°C ~ 15°C의 비교적 차가운 물에서 진행되는 다이빙. 세미드라이슈트와 함께 저수온 환경의 대안으로 사용됩니다.
- 특징: 상당한 보온력을 제공하지만, 두께 때문에 움직임이 많이 둔해지고 부력이 커져 더 많은 웨이트가 필요합니다.
✅ 형태별 쓰임새
- 풀슈트 (Full Suit): 긴팔과 긴바지 형태로, 전신을 감싸주어 가장 기본적인 형태입니다. 보온과 신체 보호에 가장 효과적이며, 대부분의 스쿠버 다이빙에서 사용됩니다.
- 숏슈트 / 스프링슈트 (Shorty / Spring Suit): 반팔과 반바지 형태로, 수온이 높은 열대 지역이나 여름철 수상 스포츠에 적합합니다. 활동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 롱존 / 롱제인 (Long John / Long Jane): 민소매에 긴바지 형태의 슈트로, 주로 팔의 움직임이 중요한 카약, 패들보드 등에 사용됩니다. 상체에 자켓을 추가로 입어 보온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롱존은 남성용, 롱제인은 여성용을 지칭)
- 투피스 슈트 (Two-piece Suit): 상의(자켓)와 하의(주로 롱존 형태)가 분리된 형태입니다. 입고 벗기가 편하며, 상하의를 겹쳐 입게 되어 복부 부분의 보온성이 뛰어납니다. 수온에 따라 상의만 입거나 하의만 입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드라이슈트 (Drysuit) – 완벽한 방수를 통한 보온

드라이슈트는 특수 씰과 방수 지퍼를 이용해 물이 전혀 들어오지 않도록 하는 건식 잠수복입니다. 슈트 자체보다는 안에 입는 내피(Undergarment)와 공기층으로 보온을 하므로, 저수온 환경에서의 필수 장비입니다.
✅ 소재별 쓰임새
- 네오프렌 드라이슈트 (Neoprene Drysuit):
- 쓰임새: 압축 네오프렌으로 제작되어 소재 자체에 어느 정도 보온성이 있습니다. 몸에 비교적 잘 맞아 유선형을 유지하기 좋고, 내피를 얇게 입어도 됩니다.
- 특징: 멤브레인 슈트에 비해 부력 변화가 크고,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 멤브레인 드라이슈트 (Membrane Drysuit):
- 쓰임새: 부틸 고무나 트릴라미네이트 등 얇고 질긴 방수 원단으로 제작됩니다. 소재 자체의 보온성은 거의 없어, 반드시 두꺼운 내피를 착용해야 합니다. 테크니컬 다이빙, 대심도 다이빙, 산업 잠수 등 극한 환경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 특징: 내구성이 뛰어나고 매우 가벼우며 건조가 빠릅니다. 수심에 따른 부력 변화가 적어 정밀한 부력 조절에 용이합니다.
✅ 주요 쓰임새
- 저수온 다이빙: 수온이 10°C 이하인 극지방, 겨울철 국내 동해, 깊은 수심의 차가운 수역 등 저체온증의 위험이 큰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 테크니컬 다이빙: 장시간 감압이 필요한 대심도 다이빙에서는 체온 유지가 매우 중요하므로 드라이슈트가 필수적입니다.
- 오염 수역 다이빙: 산업 잠수나 수중 구조 활동 시 오염된 물로부터 다이버를 완벽하게 보호합니다.
3. 세미드라이슈트 (Semi-dry Suit) – 웻슈트와 드라이슈트의 절충안

웻슈트의 형태를 기반으로 하되, 목, 손목, 발목에 드라이슈트와 유사한 이중 씰 구조를 적용하고 방수 성능이 높은 지퍼를 사용하여 물의 유입과 순환을 최소화한 잠수복입니다.
- 쓰임새: 7mm 웻슈트로는 춥고, 드라이슈트를 사용하기에는 부담스러운 10°C ~ 18°C 정도의 애매한 수온 환경에 최적의 선택지입니다. 국내에서는 늦가을, 겨울, 초봄 다이빙에 많이 사용됩니다.
- 특징: 드라이슈트처럼 별도의 내피나 부력 조절 훈련이 필요 없어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일반 웻슈트보다 월등한 보온성을 제공합니다.
4. 특수 목적용 슈트
✅ 프리다이빙 슈트 (Freediving Suit)
- 쓰임새: 공기통 없이 무호흡으로 잠수하는 프리다이빙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 특징:
- 부드러움과 유연성: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최대 효율을 내야 하므로 극도로 유연한 네오프렌을 사용합니다.
- 표면 처리: 물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표면을 매끄럽게 코팅(Smooth Skin) 처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 오픈셀 내피: 슈트 안쪽을 가공하지 않은 네오프렌 그대로 노출(오픈셀)시켜 피부에 완벽하게 밀착되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물의 순환을 거의 ‘0’에 가깝게 만들어 보온성을 극대화합니다. 단, 맨살에 입고 벗기 어려워 비눗물이나 윤활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 철인 3종 경기 / 오픈워터 수영 슈트 (Triathlon / Open water Swimming Suit)
- 쓰임새: 수영 구간에서 체온을 유지하고 부력을 높여 기록을 단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특징:
- 부력 증강: 다리가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체 부분의 네오프렌을 더 두껍게 만드는 등 부력에 최적화된 설계를 적용합니다.
- 최상의 유연성: 어깨와 팔 부분에는 움직임에 제약이 없도록 매우 얇고 신축성이 뛰어난 소재를 사용합니다.
- 빠른 탈의: 다음 종목으로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발목 부분을 비스듬히 자르거나 특수 지퍼를 사용하는 등 쉽게 벗을 수 있도록 고안되었습니다.
이처럼 잠수복은 다양한 종류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활동을 어떤 환경에서 할 것인지 명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최적의 잠수복을 선택하는 것이 안전과 즐거움을 모두 잡는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